남도민요 「성주풀이」는 전라도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민요로, 무속 의식인 성주굿에서 유래한 무가(巫歌)가 민요화된 형태이다. 성주굿은 집터를 지키는 신령인 성주왕신과 성주부인에게 집안의 안녕과 번영, 무병장수를 기원하며 올리는 의식으로, 주로 새 집을 짓거나 이사한 뒤에 치러진다. 이 민요는 의식의 분위기를 고조시키며 신령에게 간절한 소망을 전달하는 매개 역할을 했고, 후렴인 "에라 만수 에라 대신이야 대활연으로 설설이 나리소서"는 조상신이나 수호신에게 복이 가득 내려오길 바라는 기원을 담고 있다.
이 노래의 가사에는 성주의 근본을 경상도 안동 제비원이라 언급하는 대목이 있으나, 이는 성주의 신성성과 권위를 강조하기 위한 상징적 표현일 뿐 실제 지역적 기원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성주풀이」는 기와집 성주, 초가집 성주, 공대성주 등 다양한 집의 성주를 언급하면서 신령의 보편성과 위엄을 강조하며, 소상강, 동정호, 고적의 시구 같은 고전적 이미지와 문학적 상징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다. 이를 통해 민중의 삶과 정서, 세계관을 담아내며, 단순한 노래를 넘어 삶의 철학을 품은 노래로 기능한다.
음악적으로는 남도소리 특유의 굵고 구성진 창법이 특징이며, 진양조나 중모리 장단 위에 서정적이고 장중한 선율이 얹힌다. 후렴구를 반복하며 점층적으로 고조되는 형식은 무속의식을 연상시키며, 청춘의 무상함과 인생의 덧없음, 즐거움을 권하는 메시지를 함께 담아낸다. 이처럼 「성주풀이」는 단순한 민요가 아니라, 남도인의 삶과 신앙, 미학이 어우러진 복합적인 전통 예술이라 할 수 있다.
<성주풀이 가사 일부분>
에라 만수 에라 대신이야
대활연으로 설설이 나리소서
에라 만수 에라 대신이로구나
놀고 놀고 놀아봅시다
아니 노지는 못허리라
이댁 성주는 와가 성주
저댁 성주는 초가 성주
한데 간에 공대 성주
초년 성주 열일곱
이년 성주 스물일곱
삼년 성주 서른일곱
사년 성주 마흔일곱
마지막 성주는 쉰일곱이로다
대활연으로 설설히 나리소서
에라 만수 에라 대신이야
성주야 성주로구나
성주 근본이 어디메뇨
경상도 안동땅에 제비원에 솔씨 받아
봄동산에 던졌더니마는
그 솔이 점점 자라나서
황장목이 되었구나
돌이 기둥이 되었네
낙락장송이 쩍 벌어졌구나
왕왕헌 왕왕헌 북소리는
태평연월을 자랑허고
둘이 부는 피리소리
쌍봉황이 춤을 추고
소상반죽 젓대소리
어깨춤이 절로 나누나
아래 링크는 국가무형문화재 김수연(나의 창 선생님)이 부르는 남원산성 유튜브이다.
https://youtu.be/leJ633O9KoU?si=mvpaDRgayxmxWEr1
이야기/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