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금 알아보기
해금은 두 줄로 소리를 내는 한국 전통 현악기로, ‘팔음구비’와 ‘비사비죽’이라는 독특한 별칭을 가지고 있다. 팔음구비(八音具備)란 금속, 돌, 실, 대나무, 박, 흙, 가죽, 나무라는 여덟 가지 재료로 만든 악기를 뜻하며, 해금은 이 모든 재료를 고루 사용해 만들어진 유일한 악기이다. 쇠는 울림통을 고정하고, 돌은 소리 깊이를 더하며, 명주실로 줄을 만들고, 대나무로 울림통과 활대를 제작한다. 박은 원산, 흙은 송진, 나무는 조이개 등 각 부위마다 다양한 재료가 사용된다. 이처럼 해금은 모든 재료와 소리를 포용하는 악기로, 전통 사회에서 귀하게 여겨졌다. 해금은 줄을 활로 문질러 소리를 내는 현악기이면서도 몸체가 관악기처럼 관형으로 되어 있다. 해금의 또다른 별칭인 비사비죽(非絲非竹)은 '현악기도 아니..
2025. 4. 7.
대금 알아보기
대금은 한국 전통 관악기로, 대나무로 제작된 피리형 악기이다. ‘적(笛)’, ‘젓대’, ‘저대’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고구려에서 기원하여 백제와 신라를 거쳐 발전하였다. 신라 시대에는 대금, 중금, 소금을 통틀어 ‘삼죽(三竹)’ 또는 ‘삼금(三琴)’이라고 불렀으며, 이는 통일신라의 대표적인 관악기로 자리 잡았다. 대금은 단독 연주뿐만 아니라 다른 악기와도 조화를 이루며, 전통 음악뿐 아니라 현대 음악에서도 활용되는 등 폭넓은 연주 가능성을 가진다.대금의 가장 큰 특징은 ‘청공’이라 불리는 떨림막이 있다는 점이다. 청공은 취구와 지공 사이에 위치하며, 갈대 속의 얇은 막인 ‘청’을 부착하여 독특한 떨림 소리를 만들어낸다. 이로 인해 대금은 맑고 깊은 울림과 함께 특유의 비음이 섞인 소리를 내며, ..
2025. 4.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