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기/역사9

궁중음악으로 다시 태어난 민요, 종묘제례악 속 고려가요의 흔적 ‘정명(靖明)’은 조선시대 종묘제례악에 포함된 궁중음악의 한 곡으로, 조선 태종의 비인 원경왕후 민씨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정명’이라는 이름은 ‘나라를 안정시키고(靖), 밝게 한다(明)’는 의미를 지니며, 정치적 격동기 속에서 원경왕후가 보여준 지혜롭고 능동적인 내조를 찬양하고 있습니다. 민요 ‘쌍화점’에서 유래한 선율흥미롭게도 정명의 선율은 고려시대의 대표 민요 ‘쌍화점’에서 유래했습니다.쌍화점은 남녀 간의 금기된 사랑을 다룬 솔직하고 대중적인 가요로, 고려시대 민중들 사이에 널리 불렸습니다.이처럼 세속적이고 민중적인 선율이, 왕실의 제례악으로 편곡되어 계승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사례입니다. 왜 민간 노래를 궁중 제례에 사용했을까조선 왕실이 민요의 선율을 궁중음악에 끌어들인 데에는 다.. 2025. 7. 19.
소리뿐만 아니라 위치도 중요하다, 국악 악현배치 해석하기 조선 시대 음악은 단순한 예능을 넘어, 국가 통치와 사회 질서를 유지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여겨졌습니다. 궁중이나 제례 의식에 항상 음악이 포함되었던 것은 이를 방증합니다. 음악은 예(禮)와 함께 조화를 이루며 백성들에게 안정과 평화를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했습니다. 이러한 심오한 사상은 국악의 구조와 배치에도 체계적으로 반영되어 있었습니다. 음양과 천지인 사상이 투영된 무대 배치조선 시대 음악 무대 구성의 핵심 사상은 음양(陰陽)과 천지인(天地人)이었습니다. 음양은 만물을 이루는 두 가지 상반된 기운을, 천지인은 하늘, 땅, 사람을 세상의 근본 구성 요소로 보는 동양 철학의 기본 틀입니다. 이 사상은 단순히 기술적인 문제를 넘어, 세계를 바라보는 방식이 스며든 철학적 배치로 음악과 악기 구성에 영향을 미쳤.. 2025. 7. 18.
거문고의 유래와 전승 고구려에서 태동한 신비로운 현악기, 거문고거문고는 한국 전통 음악을 대표하는 현악기로, 그 기원은 고구려의 음악가 왕산악에게서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왕산악은 중국 진(晉)나라의 칠현금(七絃琴)을 개량하여 새로운 악기를 만들고, 백여 곡의 음악을 작곡했다고 전해집니다. 그의 연주에 감동한 검은 학이 춤을 추었다는 전설은 거문고의 신비성과 예술적 가치를 상징하며, 이를 반영해 '현학금(玄鶴琴)'이라 불리기도 했습니다. 이후 ‘검다’를 의미하는 ‘현(玄)’과 현악기를 뜻하는 ‘고(琴)’가 결합되어,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거문고’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인 설 외에도 최근에는 보다 복합적인 기원설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고구려 무용총.. 2025. 6. 30.
세종대왕과 박연의 국악 이야기 매년 영동에서 열리는 난계국악축제의 '난계'가 박연의 호였다니! 세종대왕과 난계 박연의 국악 사랑을 알아보겠습니다. 세종대왕은 음악을 나라를 다스리고 백성을 화합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여겼습니다. 어진 정치를 펼치기로 유명한 세종은 즉위 후 음악을 비롯한 문화 발전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였습니다. 한글 창제 및 과학 기술의 진흥과 함께 국악의 부흥 역시 세종이 꼽은 중요한 과업 중 하나였습니다. 당시 조선의 궁중 음악은 우리 고유의 향악과 중국에서 전해진 당악·아악 등이 뒤섞여 있어 체계가 없고 격식에 어울리지 않는 면이 있었지요. 세종은 이러한 국악 전반을 정비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대대적인 계획을 세웠습니다. 유교의 예악(禮樂) 사상에 입각한 세종대왕은 예법과 음악을 함께 바로잡아, 음악으로 백성을 교화하.. 2025. 6. 24.
궁중음악을 익히기 위해 사용한 교재, 『악장요람』 『악장요람』은 조선 순조대 궁중 악인 김형식이 궁중음악을 익히기 위해 사용한 교재로, 19세기 초부터 20세기 초까지 궁중음악의 변화를 반영한 유일본이다. 김형식은 효명세자가 기획한 궁중연향에서 무동과 대금차비로 활동했던 인물로, 이 책자는 그의 이름이 표지 뒷면에 기록되어 있어 순조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악장요람』은 1책 25장(또는 46면) 분량으로, 전반부에는 종묘, 경모궁, 무안왕묘의 악장과 악가가 한문과 한글 가사와 함께 제례 절차 순서대로 수록되어 있다. 후반부에는 종묘 영녕전, 경모궁, 무안왕묘의 제례악보가 가야금, 거문고, 대금 등의 주법과 함께 기록되어 있으며, 반복 선율은 중복 게재하지 않았다. 특히 『악장요람』은 악장(노랫말)과 악보가 함께 체계적으로 수록된 점이 독특하며, .. 2025. 6. 20.
경상도 판소리와 전라도 판소리 비교 판소리는 조선 후기부터 발전한 한국의 대표적인 서사음악으로, 지역에 따라 고유한 특징을 지닌다. 전라도는 판소리의 발상지로 여겨지며, 전주, 고창, 나주, 해남, 보성 등을 중심으로 판소리가 본격적으로 정착하였다. 이에 반해 경상도는 동래, 밀양, 진주 등지를 중심으로 판소리가 확산되었고, 주로 동편제와 중고제의 영향을 받으면서 독자적인 스타일로 발전하였다. 전라도는 동편제, 서편제, 중고제가 공존하며 예술적 깊이를 넓혀 왔으나, 경상도는 민요적 요소가 강하게 반영되어 민중과 밀접한 양상을 띤다.전라도 판소리는 복잡하고 다채로운 선율 구조를 지니며, 느린 진양조부터 빠른 휘모리까지 다양한 장단을 자유롭게 구사한다. 특히 서편제는 섬세하고 감성적인 선율을, 동편제는 힘차고 웅장한 소리를 추구한다. 반면, .. 2025. 5. 3.